프레임의 법칙(Frame law)
시장 통을 거처 가는 8번 버스엔
늘 승객들이 만원 입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2/R400x0/99F477375B7E2D621B9AD9)
보따리 마다 주고 받은 정을
받아 온다고 들 입가에는 흐뭇한 미소를
매달고 있습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22/R400x0/997308415B7E2D5F2D6FA4)
한참을 달리던 버스 안에서
갑자기
아기 울음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잠시 후 그치겠지 했던 아이의 울음소리는
세 정거장을 거쳐 올 때 까지도 그칠 기미가 없어 보였습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06/R400x0/99D2583C5B7E2D5919D556)
슬슬 화가 난 승객들은 여기 저기서
“아줌마 애기좀 잘 달래 봐요..”
“버스 전세 냈나..”
“이봐요. 아줌마 내려서 택시 타고 가요!
여러 사람 힘들게 하지 말고....
“ “아~짜증 나... 정말 “
![](https://m1.daumcdn.net/cfile222/R400x0/996EE1415B7E2D602D56D8)
아기를 업은 아줌마에 대한 원성으로
화난 표정들이 버스 안을 가득 매우고 있을 그 때
차가 멈추어 섭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3/R400x0/99B3F0335B7E2D5B029AB7)
다들 의아한 표정으로 버스기사만 바라보고 있는 데
일어서서 문을 열고 나가 무언 가를 사들고
다시 버스에 오릅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40/R400x0/99A3673C5B7E2D591C9F3C)
그리고는
성큼성큼 아이 엄마에게로 다가 간 버스기사는
긴 막대사탕의 비닐을 벗겨 아기 입에 물려주니
그제사야 아이는 울음을 그치고 맙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1/R400x0/99C174375B7E2D622EAF6F)
다시 버스는 출발을 했고 버스 안의 승객들은
그제야 웃음이 번져 나왔습니다.
다음 정거장에서 내려야 하는 아이 엄마는
버스기사에게 다가 와 고개를 숙이며
"손등에 다른 한 손"을 세워 보입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0/R400x0/99613F335B7E2D5D30C627)
“고맙습니다..“라는 수화로 고마움을 표현한
아이 엄마는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청각 장애인 이었습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7/R400x0/997348415B7E2D612D10C5)
아이 엄마가 내린 뒤
버스기사는 아주머니와 아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사랑의 불빛을
멀리 비추어 주고 있었어도
누구하나 "빨리 갑시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https://m1.daumcdn.net/cfile215/R400x0/99031A335B7E2D5A27231D)
※프레임 법칙이란,
똑 같은 상황이라도 어떠한 틀을 가지고
상황을 해석 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행동이 달라 진다는 법칙이다.
![](https://m1.daumcdn.net/cfile239/R400x0/99F50A335B7E2D5A28D4B9)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서로 간에 불협화음이 일어나곤 하는 것은
자기의 고정관념에서 나오는
선입견이나 편견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https://m1.daumcdn.net/cfile209/R400x0/990A2C415B7E2D5E2443DA)
상대방을 배려함이 없이
모든 걸 자기 입장에서 자기 중심적으로 만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오게 되어
분쟁이 생기는 것이다.
![](https://m1.daumcdn.net/cfile225/R400x0/99D25A3C5B7E2D58191B58)
선입견(先入見)은 자아의 성찰(省察)없는
자만(自慢)이나 오만(傲慢)에서
나오는 것이라 생각되어
모든 오해와 분쟁의 불씨라 생각된다.
- 옮겨 온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