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게시판 ▒▒/운문-詩,시조 108

♥️김소월의 시 "초혼(招魂)"에 숨겨진 슬픈 사연♥️

김소월(金素月, 1902 ~ 1934) ♥️김소월의 시 "초혼(招魂)"에 숨겨진 슬픈 사연♥️ 김소월(金素月,1902-1934 ) 평북 구성 출생. 본명은 정식(廷湜) 18세인 1920년 “창조”에 ‘낭인의 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일본 유학 중 관동대지진으로 도쿄 상과대학을 중단했다. 고향에서 조부의 광산 경영을 도왔으나 망하고 동아일보 지국을 열었으나 당시 대중들의 무관심 일제의 방해 등이 겹쳐 문을 닫고 말았다. 이후 김소월은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며 술에 의지했고, 결국 1934년 12월 24일 뇌일혈로 세상을 떠났다. 유서나 유언은 없었으나 아내에게 죽기 이틀 전, "여보, 세상은 참 살기 힘든 것 같구려." 라면서 우울해했다고 한다. 암울했던 일제 강압 통치시절, 32세의 짧은 생을 불꽃..

♡ 멋진 시 한편 해설과 함께 옮겨왔습니다.< 참 빨랐지 그 양반>

♡ 멋진 시 한편 해설과 함께 옮겨왔습니다. ​ ​ 이 정 록 ​ 신랑이라고 거드는 게 아녀 ​ 그 양반 빠른 거야 ​ 근동 사람들이 다 알았지 ​ 면내에서 오토바이도 그중 먼저 샀고 달리기를 잘해서 군수한테 송아지도 탔으니까. ​ 죽는 거까지 남보다 앞선 게 섭섭하지만 어쩔 거여 박복한 팔자 탓이지. ​ 읍내 양지다방에서 맞선 보던 날 나는 사카린도 안 넣었는데 그 뜨건 커피를 단숨에 털어 넣더라니까 ​ 그러더니 오토바이에 시동부터 걸더라고 번갯불에 도롱이 말릴 양반이었지 ​ 겨우 이름 석자 물어 본 게 단데 말이여 ​ 그래서 저 남자가 날 퇴짜 놓는구나 생각하고 있는데 어서 타라는 거여 ​ 망설이고 있으니까 번쩍 안아서 태우더라고 ​ 뱃살이며 가슴이 출렁출렁하데 ​ 처녀적에도..

옛 선인들의 시와 동양화

옛 선인들의 시와 동양화 김홍도의그림 (호암미술관 소장) 탄노가 (嘆老歌)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 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1263~1343) 호는 역동, 고려 충숙왕때의 학자 하여가 (何如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려보세 이방원(1371~1422) 조선 제3대 임금 태종 이 아직 임금이 되기전 정몽주가 이성계의 병문안을 왔을때 정적 정몽주의 의향을 떠 보며 회유를 하려는 '하여가' 노래다. 단심가(丹心歌)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 가실 줄이 있으랴 포은 정몽주 (1337..

풀꽃' 시인(詩人)의 인생

'풀꽃' 시인(詩人)의 인생 ‘풀꽃’이란 시(詩)로 꽤 널리 알려진 '나태주' 라는 詩人이죠. 시골 초등학교 교장(校長)으로 은퇴하신 분답게 중절모가 잘 어울리는 시골 할아버지 입니다. 나태주 시인이 쓴 시(詩) 중 최근에 알게 된 시(詩)가 하나 있습니다.병원(病院) 중환자실에서 시한부 삶을 선고받을 만큼 중병을 앓고 있을 때, 곁에서 간호하는 아내가 안쓰러워 썼다는 시(詩)입니다.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라는 제목(題目)의 시(詩)였는데, 아내를 위해 하느님께 하소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하느님!]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너무 섭섭하게 그러지 마시어요. 하느님! 저에게가 아니에요. 저의 아내 되는 여자에게 그렇게 하지말아 달라는 말씀이어요. 이 여자는 ..